티스토리 뷰
연말 소득공제 연금저축 한도 상향! 노후를 위한 혜택 확대
@!@## 2023. 11. 18. 14:27
2023년부터 세법 개정으로 연금저축 및 IRP 등 노후 대비 상품 가입자의 연말정산 세액공제 한도가 증가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연금저축 연간 세액공제 한도의 변화와 주요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상향
연금저축 연간 세액공제 한도가 200만 원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 변경은 2023년 1월 1일부터 모든 가입자에게 적용됩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는 종합소득금액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변화합니다.
- 종합소득금액 5,500만원 이하인 경우: 세액공제율 16.5%, 최대 세액공제액 99만원
- 종합소득금액 5,500만원 초과인 경우: 세액공제율 13.2%, 최대 세액공제액 79.2만원
또한, 연금저축 납입한도가 최대 600만 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연금저축을 통해 받을 수 있는 최대 환급금은 99만 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IRP 등 퇴직연금도 세액공제 한도가 900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연금저축의 중요성
노후를 준비하기 위해 연금은 필수적입니다. 공적 연금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사적 연금도 고려해야 합니다. 연금저축 소득공제 한도는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개설하고 현금을 이체할 때 적용되며, 직전 연도 납입 금액에 따라 13.2%에서 16.5%까지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혜택을 최대로 받는 방법
연금저축펀드 계좌와 IRP 계좌를 합쳐 최대 600만 원까지 납부하면 연금저축 소득공제로 근로소득 5,500만 원 이하 시 148만 원, 초과 시 118만 원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연금저축펀드 계좌에서 해외 ETF 거래 시 배당소득세 면제 혜택이 있으며, 국내 ETF보다 해외 ETF를 추천합니다.
고려해야 할 사항
- 연금저축 가입 시 중도 해지 시 세금 혜택 반환과 관련된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개별 종목,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 투자는 허용되지 않으며 안정적 투자를 지향해야 합니다.
- 연금저축은 55세까지 유지하는 것이 권장되며 중도 해지에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연금복권도 노후 준비에 활용 가능하며 월급 부족 시 고려할 만합니다.
이렇게 2023년 연금저축 연말정산 세액공제 변경 내용을 알려드렸습니다. 노후를 위한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여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