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연차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는 시간 가져보도록 할 텐데요 오늘 안내를 해 드릴 내용은 2020년 연차계산기 이용 방법입니다 새해가 되면서 새롭게 자신의 연차에 대해서 며칠이 발생하는지 알아 보시고 싶으신 분들 계실 겁니다 연차는 기본적으로 1년이상 근무하게 되면 15일이 발생하게 되어 지는데 3년 근속시 이후 2년마다 1일식 추가가 되었습니다. 최장 25일까지 연체가 발생을 하게 되어지는데 조금 어려울 수도 있으니 오늘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계산기 안내를 해 드릴게요.

 

 

 

오늘 안내를 해드리는 2020년 연차계산기를 이용하신다면 여러분들은 간단하게 여러분들의 입사 일자만 입력을 해 주시면 자동으로 계산을 해서 결과를 알려 주게 됩니다 한번 알아보시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잘 안 내 딸아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생각보다 연차 일수 계산을 해주는 사이트가 별로 없습니다 오늘 이용해 본 사이트는 유리지갑이라고 하는 사이트 인데요이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누구나 쉽게 연차 일수를 계산을 할 수가 있습니다

 

 

 2020년 연차계산기뿐만 아니라 연차수당도 계산을 해 주기도 합니다. 바로가기는 하단에 링크다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제 여러분들도 이렇게 유리지갑 홈페이지로 이동을 하시게 되었다면 바로 이렇게 위에 보이시는 것과 같은 다양한 계산기들을 확인하실수가 있을 겁니다이 중에서 제가 표시해 놓은 연차 일수 계산기를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연차 일수 계산기 가시랭이 되어지게 잤는데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여기에서 연차 일수를 개선하기 위한 24일 자만 선택을 해 주신 후에 계산하기 버튼만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여러분들의 입사일자 기준으로 총 근무일수를 계산을 해 주고 여기에서 추가로 발생되어지는 연 차까지 해서 총 연차를 계산해 주게 됩니다 어떠신가요 아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2020년 연차계산기 이죠.

 

 

그리고 좌측의 메뉴를 보시게 된다면 이렇게 관련되어진 다양한 계산기 메뉴가 나오게 되어지는데 여기에서 연차 일수뿐만 아니라 연차수당이 나 연봉 실수령액 계산도 하실수가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기를 한번 실행해봤는데 간단하게 입사일자 와 월기본급 그리고 월수당 1년의 총 상여금 정보를 입력을 해 주시고 계산하기를 눌러 주시면 바로 여러분들이 연차수당 즉 통상임금이 계산이 되어질 겁니다 오늘 안내해 드린 2020년 연차계산기와 함께 같이 이용해 보시길 바랄게요.

 

 

댓글